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이 오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서둘러서 지급 대상자들은 받으시길 권합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
사실, 저는 이번에 코로나19 상황으로 딱 한번 전국민 지급 외에는 받은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와 비슷한 상황에있는 친구는 거의 다 받아가더라구요. 근데 정말 필요한 사람이 받는다면 더없이 좋은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는데 받는 사람들은 사실 보기에 좋아보이지는 않더라구요.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하는 사람들이 정말로 필요하고 정말 자신이 필요한곳에 정직하게 잘 사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일정 소득수준이 이하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나 특고 프리랜서가 코로나 19로 인하여 소득이 감소한 경우에 지급되기로한 자금입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 대상과 요건은?
코로나19로 인하여 기지급을 받은 특고나 프리랜서 그리고 2020년 12월 24일 기준으로 고용보허 미가입자가 대상이 됩니다. 또한 1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수혜자의 경우에는 특고 프리랜서 유형으로 신청한자가 대상이됩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 제외대상자는?
-20.12.24. 기준 고용보허 가입자 및 공무원·교사·군인(입영포함) 등으로 취업한 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단, ’20.12.15.~12.24. 내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3일 이하인 경우는 예외적으로 지원대상에 포함합니다.
-긴급복지지원 생계급여 수급자 등은 다른 정부 지원금을 중복하여 지급받은 경우에는 제외
-공공일자리(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도 제외
-오심사 또는 부정한 방법 등으로 환수대상자로 확인된 사람은 제외됩니다.
-사업자등록증이 있어서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중기부) 수급을 위해 2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을 반납한 사람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하면 50만원의 금액을 받습니다.
1차때는 150만원, 2차때는 50만원을 받고 이번 3차때는 50만원이니 약 250만원의 금액을 받은 사람들도 많이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말 이 금액들이 필요한곳에 좋은 도움으로 쓰여지길 원합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시기
온라인 2021년 1월 6일 수요일 오전 9:00시~ 1월 11일 월요일 오후 18:00시
-신청홈페이지에서만 신청이 가능하고, PC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대상자에게는 별도로 사전에 문자를 보냈습니다.
방문신청은 2021년 1월 8일 금요일, 11일 월요일
업무시간인 오전9시부터 18시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신분증과 통장사본을 지참하여 거주기 또는 근무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며됩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방법은?
지급받는 계좌가 불분명해서 확인을 원하는 경우나 지급계좌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청이 필요하다고 한다
1월 11일부터 신청하였던 순서에따라 지급하고 1월 15일까지 지급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실제 지급은 신청 상황에 따라서 1~2일 차이가 발생한다고합니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은 경우에는 1월 13일부터 지급한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 중복수급과 관련한 사항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한 사람이 동 지원금을 수급받은 경우, 1월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미지급(2월부터 수급 가능하다고 합니다)
- 미지급한 구직촉진수당은 남은 취업지원서비스 기간 내 분할지급하여 구직촉진수당은 전액 지급한다고 합니다.(구직촉진수당 총액 유지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시행하는 소상공인 버팀목자금과는 중복하여 수급 불가하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동 지원금을 받은 자가 버팀목자금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동 지원금은 반납 필요합니다.(지급 전에 버팀목자금 대상자로 확인 된 경우는 동지원금 지급 보류 처리 예정입니다)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 기타 참고사항은?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이번에 신규신청자를 위한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은 신청절차는 1월 15일(금)에 공고할 예정
- 영세자영업자는 중기부 소상공인 버팀목자금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지원금 지급 이후 2020.12.24일 현재 고용보헝 가입, 공무원·교사·군인 등이 확인되는 경우는 지원금을 환수 예정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담 콜센터(1899-9595) 및 긴급 고용안정 지원금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